본문 바로가기
녹색성장위원회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위원회활동
주요소식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전체메뉴
녹색성장
개념
국가전략
소식
위원회 활동
주요소식
정보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위원회
인사말
위원회소개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닫기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용어사전
용어사전검색
검색어 입력
숫자검색
한글검색
영문검색
EGS [Enhanced Geothermal System]
인공저류층생성기술(EGS;Enhanced Geothermal System) 높은 지열을 갖춘 지역에서 주입정으로 물을 주입하고 인공저류층을 통해 생산정으로 빼내는 방식
GSEP [Global Superior Energy Performance]
클린에너지장관회의(CEM) 과제 중 하나로, 미국, 캐나다, 일본, 한국,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EC, 인도, 멕시코, 남아공, 러시아, 호주 참여중. GSEP 의장국인 미국은 ’07년부터 24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에너지경영성과등급제(SEP)를 시범추진중
ESS [Energy Storage System]
전기를 저장하여 피크수요를 분산할 수 있는 장치로, 배터리·변환장치·운영시스템 등으로 구성
에너지저장장치 [ESS, Energy Storage System]
전기를 저장하여 피크수요를 분산할 수 있는 장치로, 배터리·변환장치·운영시스템 등으로 구성
에너지 효율 [ Energy Efficiency ]
에너지 변환기(엔진, 녹색식물, 터빈 등)가 소비한 에너지에 비해 실질적인 유효에너지는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는 에너지의 변환, 2차 에너지의 수송률(손실률을 뺀 것), 이용계에 있어 변환용의 세 단계에 따라 결정된다.
폴리실리콘 [polysilicon]
작은 실리콘 결정체로 이뤄진 딱딱한 물질.태양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태양전지의 원재료다. 폴리실리콘을 원통형 덩어리(잉곳)로 전환시킨 뒤 그것을 잘라 둥근 원판형 웨이퍼를 만든다. 이 웨이퍼를 가공한 것이 태양전지 셀이고, 셀을 여러 개 결합한 것이 태양광 모듈이다.
DID [Digital Information Display]
디지털 화면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와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영화 포스터를 디지털 액정화면에 표시해 주며, 초지향성 스피커와 인식 센서를 설치해 해당 영화 주제곡 및 효과음 까지 들려줌
ESCO [Energy Service Company, 에너지절약전문기업]
ESCO(Energy Service Company)는 우리말로 ‘에너지절약전문기업’을 뜻한다. ESCO사업은 전기·조명·냉난방 등 ESCO로 지정받은 에너지 전문업체가 특정건물이나 시설에서 에너지 절약시설을 도입할 때 해당기관으로부터 돈을 받지 않은 채 비용 전액을 ESCO 업체가 투자하고, 시설투자 후 여기서 얻어지는 에너지절감예산(전기요금 절약분)에서 투자비를 일정 기간 분할 상환받도록 하는 사업방식을 말한다. 대신 ESCO 업체는 투자비용을 정부에서 설치한 에너지합리화자금에서 지원받는다. 2006년 1월 현재 166개 업체가 등록, 활동하고 있다. 정부는 에너지절약 차원에서 ESCO사업의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 올해 ‘우수 ESCO 인증제도’를 도입해 인증된 업체에는 공공 입찰시 1점의 가점을 주는 등의 인센티브를 부여키로 했다. 또 ESCO가 민간자금으로 투자할 경우에도 사업실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해 사업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다. 고유가와 에너지절약 시책에 맞춰 최근 많은 중견 기업이 ESCO를 신규 사업으로 채택하고 있다.
바이오 리파이너리 [Bio-refinery]
기존 산업 체계에서 석유가 담당하던 역할을 재생가능한 자원인 바이오매스로 대체하려는 개념이다. 즉 지금까지 오일 리파이너리(Oil Refinery, 석유 정제)를 통해 휘발유, 경유와 같은 연료와 수많은 화학제품을 생산했듯이,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를 통해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과 같은 연료와 바이오플라스틱 등의 각종 화학제품을 생산하려는 시도이다. 태양열/태양광, 풍력, 지열 등과 같은 대체 에너지원들이 단순히 발전과 열 이용 측면에서 석유의 대체 수단인 점을 감안할 때 바이오 리파이너리는 훨씬 포괄적인 범위에서 석유를 대체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는 곳은 미국이다. 미국은 지난 2002년 10월, ‘ 미국의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 제품의 비전’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바이오 연료는 연평균 15%, 바이오 제품은 연평균 5.7%의 시장 확대를 목표로 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산업 창출 장기 전략을 밝힌 바 있다. 또한 2020년까지 석유를 원료로 생산되는 소재의 20%, 2050년까지 50%를 바이오 제품으로 대체할 계획을 밝히는 등 바이오 리파이너리를 통해 거대 천연 소재 신시장을 창출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유럽과 일본에서도 이와 유사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지난 2003년 유럽 생물산업연합(EuropaBio)이라는 단체를 구성하고 유럽의 현실에 맞는 바이오 에너지와 바이오 제품의 개발 및 실용화에 나서고 있다. 일본도 지난해부터 경제산업성 주관으로 바이오프로세스 실용화 및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활용 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New and Renewable Energy]
● 신재생에너지 정의 ☞ 우리나라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2조의 규정에 의거 "기존의 화석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유기체 등을 포함하여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로 정의하고 11개분야로 구분 - 재생에너지 : 태양광, 태양열, 바이오, 풍력, 수력, 해양, 폐기물, 지열(8개 분야) - 신에너지 : 연료전지, 석탄액화가스화 및 중질잔사유가스화, 수소에너지 (3개 분야) ● 신재생에너지 중요성 ☞ 신·재생에너지는 과다한 초기투자의 장애요인에도 불구하고 화석에너지의 고갈문제와 환경문제에 대한 핵심 해결방안이라는 점에서 선진 각 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과감한 연구개발과 보급정책 등을 추진 - 최근 유가의 불안정, 기후변화협약 규제 대응 등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에너지공급방식 다양화 필요 - 기존에너지원 대비 가격경쟁력 확보시 신·재생에너지산업은 IT, BT, NT산업과 더불어 미래산업, 차세대산업으로 급신장 예상 - 우리나라는 2011년 총에너지의 5%를 신·재생에너지로 보급한다는 장기적인 목표하에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 및 보급사업 등에 대한 지원 강화
<<
<
1
2
3
4
5
6
7
8
9
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