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색성장위원회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위원회활동
주요소식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전체메뉴
녹색성장
개념
국가전략
소식
위원회 활동
주요소식
정보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위원회
인사말
위원회소개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닫기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용어사전
용어사전검색
검색어 입력
숫자검색
한글검색
영문검색
몬트리올 의정서
지구의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해 CFC, 할론 등 오존층 파괴물질의 사용을 제한한 국제환경협약을 말한다. 1985년 3월 ‘오존층 보호에 관한 빈 협약’이 이루어지고 1987년 9월 몬트리올 의정서가 정식으로 채택되어 1989년 1월부터 발효됐다. 몬트리올 의정서 가입국은 CFC 등 규제물질을 1986년 사용량을 기준으로 1995년부터 단계적으로 줄여나가 2000년에는 전면 사용을 중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1992년 2월에 가입하였고 1995년 3월 2일부터 염화불화탄소(HCFC), 브롬화불화탄화수소(HBFC), 브롬화메틸 등을 새로이 규제대상에 포함시킨 ‘오존층 파괴물질에 관한 몬트리올 의정서 개정서’가 적용됐다. 개정안에 따르면 자동차, 에어컨, 냉장고 등의 냉매로 쓰이는 HCFC는 1996년부터 단계적인 소비감축을 거쳐 2030년 이전에 사용을 중단해야 하며 소화제인 HBFC는 1996년부터 전면 사용이 금지됐다. → CFC
메탄 [CH4 (Methane)]
교토의정서에 지정된 6가지 온실기체 중 두 번째로 일반적인 기체. 지구온난화 지수는 24.5정도이다. 메탄은 쓰레기 매립지에서의 혐기성분해과정, 동물성 폐기물의 분해, 천연가스와 석유 생산, 유통과정, 동물 소화과정, 석탄채굴, 화석연료의 불완전연소 등을 통해 발생된다. 메탄의 대기 중 농도는 연간 0.6% 비율로 증가하고 있으며 약 1.7ppmv 정도로 산업화 이전에 비해 약 두배가까이 된다. 그러나 대기 중 메탄의 증가율은 거의 안정화 된 상태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