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색성장위원회
개념
개념
추진배경
국가전략
국가전략
5개년계획
위원회활동
주요소식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인사말
위원소개
당연직위원
민간위원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전체메뉴
녹색성장
개념
국가전략
소식
위원회 활동
주요소식
정보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위원회
인사말
위원회소개
위원회연혁
위원회기능 및 구성
위원회로고
닫기
회의자료
녹색법령
용어사전
관련 사이트
관련 정보
용어사전
용어사전검색
검색어 입력
숫자검색
한글검색
영문검색
광전변환 효율
빛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로, 높을수록 더 많은 전기를 생산할 수 있음
광물섬유 (mineral fiber)
미네랄 울(wool)이라고도 한다. 천연으로 얻어지는 석면(石綿)이나 과학적으로 만들어진 인공암면(人工岩綿)·글라스울(유리솜) 등이 있다. 식물·합성섬유와 같이 사용되는 섬유의 일종으로, 주로 보온·방음재로 사용된다.
그린스토어 [Green Store]
정부가 추진하는 「지식·혁신주도형 녹색성장 산업발전전략」의 하나로 친환경상품 구매, 친환경 매장, 친환경물류 관리 선도기업에 대한 인증제도를 의미한다.
그린 Job [Green Job]
농업, 산업, 서비스 및 행정부문에서 환경질(質)을 개선하는 것과 관련된 일자리로서 절대적인 개념이 아니라 시간 경과에 따라 진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태양열·풍력 등 재생에너지 기술자, 바이오디젤(식물에서 추출하는 연료)용 옥수수를 재배하는 농부같은 직업, 넓게 보면 온실가스 배출권 중개업자나 에너지 저소비형 주택 설계사도 포함 가능하다. <부문별 Green Job 유형(Green Job 2008 보고서-UNEP, ILO, IOE, ITUC)> ▷ 에너지공급 : integrated gasification/탄소고정화, 열병합발전, 재생에너지, fuel cells ▷ 교통 : 에너지 고효율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fuel cells 자동차, 카풀, 대중교통, non-motorized 교통(자전거, 걷기), 토지이용 및 정주패턴 변화(자동차 교통 의존도 감소) ▷ 제조업 : 오염통제, 에너지 및 물질효율화, 청정생산기술(toxic avoidance), closed-loop system ▷ 건물 : 에너지 효율적 전구, 전기장치 및 사무기기, solar heating and panels, retrofiting, green building, passive solar houses, zero-emission building ▷ 물질관리 : 재활용, EPR, De-materialization, 내구성 높은 제품 ▷ 소매 : 에코라벨제품 촉진, 주거지역에 근접한 소매점, minimization of shipping distances ▷ 농업 : 토양보전, water efficiency, 유기농법, 농장과 시장간 거리축소 ▷ 산림 : 재조림, agroforestry,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및 인증, deforestration 방지
그린 소프트웨어 [Green Software]
저탄소 녹색성장 이끄는 핵심엔진으로 기업이 경제활동에 필요한 기반시설들을 저전력 시스템으로 구현해주고 업무과정을 지능화, 자동화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고 유해물질 배출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소프트웨어, 저탄소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는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 서비스를 포괄하는 IT 자산과 운영의 효율화를 지원하거나 유해물질이나 환경규제를 관리하는 솔루션 등이 대표적인데, 전문가들은 이를 잘 이용하면 서버나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 등 하드웨어의 전력 사용량이나 발열량을 줄이는 것보다 더 직접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린 소프트웨어의 활용도는 빌딩 내 온도습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지능형빌딩시스템(IBS)이나 운송망 관리, 에코 드라이빙, 재고 감소 등을 지원하는 운송 네트워크 설계 시스템 등 적용 범위와 폭이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유해물질 사용제한, 전기전자제품 폐기물처리 등 국제 환경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관리 소프트웨어는 가장 직접적인 그린 소프트웨어로 꼽힙니다.
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 [IOPC (The International Oil Pollution Compensation Funds)]
국제유류오염보상기금(IOPC : The International Oil Pollution Compensation Funds) 기름유출 사고로 피해를 입은 국가에게 방제비용이나 재산상 손실 등의 보상액을 산정, 지급하는 기구. 국제해사기구(IMO) 소속으로 각국 정유사 등 화주의 분담금으로 조성된다. 우리나라를 포함해 140개국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다. 유조선 사고시 피해보상액이 선주의 책임한도인 1천300억원을 초과할 경우 피해장에게 최대 3천억원까지 보상을 해준다.
그린빌딩 인증제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그린빌딩(Green Building)은 환경적으로 향상된 방법으로 설계, 건설, 운영, 철거되는 빌딩. 즉 에너지절약과 환경보전을 목표로 에너지부하 저감, 고효율 에너지설비, 자원재활용, 환경공해 저감기술 등을 적용하여 자연친화적으로 설계 건설하고 유지관리한 후 건물의 수명이 끝나 해체될 때에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계획된 건축물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2000년부터 환경부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그린빌딩 인증제]를 시범적용하고 있다. 그린빌딩으로 인증받으려면 그린빌딩 국제협의체인 GBC(Green Building Challenge)의 평가기준에 따라 자원소비나 실내외 환경, 근린환경요소 등을 평가받아야 한다. GBC는 92년도에 설립되어 국제 공통의 그린빌딩 인증 기준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기구다. 평가요소는 △자원소비 △환경 분야 △실내환경 △장기내구성 △공정관리 △근린환경요소의 여섯가지 부문에서 46개 항목에 달한다. 그린빌딩으로 인정받으면 시공업체는 소비자들에게 친환경성이나 쾌적성을 홍보해 건물의 상품가치를 높일 수 있게되며, 지자체로부터 각종 세제 헤택을 받을 수도 있게된다.
그린빌딩 [Green Building]
에너지절약과 환경보전을 목표로 [에너지부하 저감, 고효율 에너지설비(energy), 자원재활용, 환경공해 저감기술(environment) 등을 적용하여 자연친화적(ecology)으 로 설계, 건설하고 유지 관리한 후, 건물의 수명이 끝나 해체될 때까지도 환경에 대한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계획된 건축물]을 말한다.
그린 IT [Green IT]
지구 환경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친환경적인 성격을 갖는 IT 기기나 IT 기술을 뜻한다. 초기에는 저전력 설계나 재활용성을 높인IT 제품들을 일컬었지만 현재는 자연 공해나 산업화에 따른 생태계 오염을 IT기술로 예방한다는 뜻도 내포하고 있다. 기존의 IT가 경제력 활성화에 그 목적을 두고있다면 그린 IT는 인류(People), 지구(Planet), 그리고 수익(Profit)에 그 목적을 두며 차별된다. 미국의 IT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는 ‘2008년 IT 10대 전략 기술’의 첫 번째로 그린 IT를 제시하면서 그린 IT는 환경을 파괴하지 않고 IT 기술을 활용해 자연환경 보존에 보탬이 되는 것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공적개발원조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공공개발원조·공적개발원조라고도 하며, 증여·차관·배상·기술원조 등의 형태를 갖는다. 개발도상국에 대한 공적자금 중 첫째, 정부 또는 정부의 원조기관에 의해 공여된다. 둘째, 개발도상국의 경제발전과 복지향상에 기여한다. 셋째, 자금 공여조건이 개발도상국에게 부담되지 않도록 무상 부분을 일정 비율 이상으로 한다는 조건을 갖춘 것을 말한다.
1
2
3
4
5
6
7
8
9